에디붐은온다

칼럼

2030 무기력증 오는 이유

M
admin
2025.05.18 추천 0 조회수 30 댓글 0

요즘 유행 2030 신종 우울증과 무기력증 증상?


제가 쓰레드에서 본 글인데 공감하시는 분이 많았는지 조회수가 1.4만이 넘더라구요.

요즘 유행하는 2030 신종 우울증의 특징 10가지는 다음과 같다고 하네요.

겉으로 보기엔 멀쩡함

퇴근하면 암것도 하기 싫고 누워만 있음

피곤한데 밤새 스마트폰 하면서 안자고 버팀

우울보다는 이유 없이 무기력

좋아하는 거 할때는 신남

일/공부할땐 집중이 어렵고 몸이 아프기도 함

잠에서 깨어나도 멍하니 누워있음

식욕도 살아있으면서 밤에 폭식함

우울증인지 게으름인지 구분이 안감

방정리 안됨

여러분들은 몇개나 해당되시나요? 요즘 무기력감을 느끼고 계신가요?

저도 과거에는 10가지 모두 해당되었습니다. 수업전에 사전진단을 하는데, 제 수강생분들의 90%는 10개 다 해당되는 듯 해요.

(습관개선 시간관리 4주 프로그램 중 일주일만 지나도 10가지 다 개선됩니다.)

걱정하지마세요.

스스로 게으르다고 자책하지 마세요.

방법을 모르는 것 뿐입니다.

무기력증 원인을 알고 방법을 알면, 변화는 가능하다.

2030 무기력증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분석하는 것을 좋아하는 INTP인 제가 경험과 통찰, 그리고 사례를 통해 분석한 무기력증 원인 몇가지를 알려드릴게요.

1) 목표가 없다

무기력증에 걸린 분들은 대부분의 경우 목표가 없습니다.

목표가 있더라도, 내 자신이 원한 것이 아니고 사회적 압박속에서 '안하면 안될 것 같아서, 나는 하고 싶지 않지만 남들 다 하니까' 하며 억지로 만들어낸 목표라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 고통스럽기 때문에 결국 회피하여 무기력증이 올 수 있습니다.

또한 중장기적인 삶의 목표가 없는 분들도 무기력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목표가 없으니 뭘 해야할지 모르고 반복적인 일상만 흘러가 결국 무기력증이 걸리게 되죠.

2) 나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

나와 타인의 이익에 모두 관심갖고, Win-Win 전략을 지향하는 사람은 성공한다고 해요.

하지만, 나와 타인 누구의 이익에도 관심갖지 않는 사람은 무기력증에 걸린다고 합니다.

평소에 나의 이익과 타인의 이익을 모두 관심갖고 추구하는 습관이 무기력증을 막아줄 수 있어요.

특히나 나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 맹목적인 자기 희생은 불행을 불러옵니다.

나의 행복과 이익은 고려하지 않고 반복하는 배려와 양보가 무기력증과 불행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나의 이익 - 상대의 이익 모두 추구 :

착하고 똑똑한 삶(Win-Win)

나의 이익만 관심 : 이기적 비호감의 길

상대의 이익만 배려 : 자기 희생 결국 불행해짐

누구의 이익도 관심없음 : 무기력

3) 커리어 성장의 정체 혹은 커리어의 상실

커리어 성장의 정체 혹은 커리어의 상실은 무기력증을 불러옵니다. 1번과 이어지는 내용일 수 있는데요. 우리 삶에 계속해서 성장하며 발전하는 목표를 갖게 해주는 가장 주요한 요소는 커리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최고 재벌이라는 돈 많은 삼성 회장 이재용이나 이부진님도 커리어를 갖고 계속해서 일을 하며 회사를 키워가고 계시죠.

여러가지 이유로 커리어 성장이 정체되거나 결혼, 건강문제, 이직 준비 등으로 커리어가 상실되면 사람은 무기력증이나 우울증에 걸리기 쉬워요. 특히나 지루하게 반복되는 단조로운 일상속에서 내가 기쁨을 느낄 것이 없다면 더더욱 무기력증이 오게되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나의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목표와 일을 찾아가는 노력을 한다면, 무기력증이 의외로 금방 회복되기도 합니다.

무기력증 극복의 시작은 나의 일상을 바로잡는 것부터

무기력감을 느끼는 자신을 탓하지 마세요.

2030 신종 우울증이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니까요.

중요한 건 이런 감정을 인정하고 작은 변화로 새로움을 만들어 가는 거예요!

댓글 0

블로그

전체 일상기록 인사이트 리뷰 성장로그 칼럼 기타
1